KDB생명, 새 주인찾기 무산…하나금융 인수 포기

KDB생명이 새 주인 찾기에 실패했다. 인수 후 자본적정성 개선을 위한 대규모 자금투입 부담이 원인이 된 것으로 분석된다.

KDB칸서스밸류PEF(KCV PEF)는 18일 우선협상대상자인 하나금융지주로부터 KDB생명보험 인수 포기 의사를 전달받고, 하나금융지주와의 매각 절차를 중단한다고 밝혔다. 

지난 7월 하나금융지주는 KDB생명 인수전에 참여해 우선협상대상자 지위를 확보했다. 업계에서는 하나금융이 KDB생명을 인수한 뒤 기존에 보유하고 있는 하나생명과 합병해 시너지를 낼 것으로 내다봤다. 올해 상반기 기준 KDB생명(16조9328억원)과 하나생명(6조3247억원)의 자산규모를 더하면 단숨에 업계 10위권을 노릴 수 있었다. 주요 금융지주 가운데 은행 의존도가 가장 높은 하나금융으로서는 생보사 인수를 통해 비은행사업 강화를 꾀할 수 있다는 분석이 나왔다. 

다만 KDB생명의 자본적정성이 업계 최하위수준인 탓에 인수 후 자본적정성 개선을 위해 대규모 자금을 투입해야 하는 상황은 하나금융에 부담으로 작용했다. 

올해 상반기 기준 KDB생명의 신 지급여력(K-ICS)비율은 67.53%(경과조치 적용 전)로 집계됐다. 같은 기간 국내 생보업계 합산 지급여력비율은 196.2%인데 이에 한참 미치지 못한다. 국내에서 영업하고 있는 22곳 생보사 가운데 21위로 최하위권이다.

지급여력비율은 보험사의 자본적정성을 평가하는 지표로 가용자본(지급여력금액)을 요구자본(지급여력기준금액)으로 나눠서 구한다. 상반기 말 KDB생명의 요구자본은 1조5956억원, 가용자본 1조0775억원이다. 보험업법에서는 지급여력비율이 100% 아래로 내려가지 않도록 규제하고 있다. KDB생명의 지급여력비율이 100%를 넘기기 위해서는 가용자본이 5000억원 이상 증가해야 한다. 금융당국 권고치인 150%를 넘기려면 1조원이 넘는 자금이 투입돼야 한다는 계산이다. 

자본적정성 개선을 위해 대규모 자금이 투입돼야 하는 상황은 KDB생명 새주인 찾기에 걸림돌로 작용할 수밖에 없다. 이에 산업은행은 거래종결을 위해 유상증자, 2대주주 잔류 등 다양한 카드를 꺼내들었다. 앞선 4차례의 매각 실패를 되풀이하지 않겠다는 의지를 비춘 셈이다. 

산업은행의 다양한 지원책에도 불구하고 하나금융을 붙잡지는 못했다. 결국 5번째 매각 역시 실패로 끝났지만 매각 과정에서 KDB생명 매각을 향한 산업은행의 의지가 부각된 점은 긍정적이라는 관측도 나온다. 이번 매각에서 산업은행 측이 인수자를 위해 다양한 지원책을 내놓은 만큼 향후 KDB생명 매각이 재개됐을 때 기존 대주주의 전폭적 지원을 기대하고 인수전에 뛰어드는 후보들이 등장할 수 있다는 것이다. 

앞서 하나금융이 우선협상대상자로 선정되기 전 하나금융 외에도 파운틴헤드PE, WWG자산운용 등이 KDB생명 인수에 관심을 보였던 만큼, 기존 후보들이 다시 인수후보로 등장할 가능성도 있다. 산업은행은 “KDB생명보험의 기업가치 제고를 위한 노력과 함께 시장 상황 등을 고려하여 향후 처리 방안을 마련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error: 더블클릭 금지!!